공문서 작성시 참고사항 - 맞춤법
1. [고/라고]
“~가 중요하다.”고 말했다. → “~가 중요하다.”라고 말했다.
(해설) 앞말이 직접 인용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조사는 ‘라고’이다. ‘고’는 앞말이 간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(예: 아이들이 소풍을 가자고 떼를 쓴다.)이므로 직접 인용되는 말 뒤에는 쓰기 어렵다.
2. [로써/로서]
그것은 교사로써 할 일은 아니다. →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은 아니다.
(해설)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는 ‘로서’이다. ‘로써’ 는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이다.(예: 대화 로써 갈등을 풀 수 있을까?)
3. [율/률]
백분률 → 백분율
(해설) 받침이 있는 말 뒤에서는 ‘렬, 률’, 받침이 없는 말이나 ‘ㄴ’ 받침 으로 끝나는 말 뒤에서는 ‘열, 율’로 적는다.(예: 비율, 실패율, 매 칭률)
4. [년도/연도]
시설년도 → 시설 연도
(해설) 한자음 ‘녀, 뇨, 뉴, 니’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‘여, 요, 유, 이’로 적는다. ‘시설년도’는 한 단어가 아니므로 ‘시설 년도’로 띄어 써야 하고, ‘연도’는 독립된 단어이므로 ‘년도’ 가 아니라 ‘연도’로 적어야 한다.
5. [연월일의 표기]
‘06. 1 → ’06. 1. / 2013. 6. 27(목) → 2013. 6. 27.(목)
(해설)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경우에 마침표는 연월일 다음에 모두 사용해야 한다.
6. 융복합 → 융·복합
(해설) 열거된 단위, 용어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경우 ‘가운뎃점’을 사용 한다.(단, 한 단어로 사전에 등재된 말은 가운뎃점을 찍지 않음. 예: 시도, 내외, 대내외, 장차관)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(TISTORY) 블로그 파비콘 설정하기 (0) | 2019.02.11 |
---|---|
파비콘 만들기(favicon) - ICO 파일 변환 (0) | 2019.02.09 |
인터넷으로 포토샵을 해보자(Online Photo Editor) (2) | 2019.02.09 |
저작권 없는 무료 이미지 다운로드 (2) | 2019.02.09 |
예방접종증명서 발급하기(인터넷 발급) (0) | 2019.02.09 |
컴퓨터 정리프로그램(CCleaner) (1) | 2019.02.07 |
공문서 작성기준 (1) | 2019.02.05 |
연말정산 엑셀 자료(수식) (0) | 2016.03.16 |